AI-기반 자동화시스템 연구실 (AI-enabled Automated System Lab)
연구실 소개
AI-기반 자동화시스템 연구실은 기존에 존재하고 있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화 시스템 관련 연구를 수행하여, 미래사회에서 점차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인공지능(AI) 기반의 신산업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 산업공학도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. 미래사회에서 사용될 수많은 무인시스템과 자율시스템들은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인공지능(AI) 기반으로 분석하여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필수적입니다. 자동화된 기계들에 이러한 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신기술을 연구하여 독창적이고 효과적인 AI 기반 자동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실의 최종 목표라 할 수 있습니다.
웹기반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연구실 / Web-enabled Enterprise Systems Lab
구분 |
내 용 |
지도교수 |
권용진 (Professor Yongjin (James) Kwon) |
실험실(LAB) 위치 |
팔달관(Paldal Hall) #214 |
지도교수 전화번호 / 이메일 |
031-219-2418 / yk73@ajou.ac.kr |
대학원생 전화번호 / 이메일 |
허진영 hjy9061@ajou.ac.kr |
주요 행사 참여
주요 프로젝트
(1) 중기청 산학협력 과제: 광역감시를 위한 자율비행 VTOL 무인기 개발
-
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콥터와 고정익 비행기의 장점을 살린 VTOL (Vertical Take-off and Landing) 무인기를 개발하여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데 있음
-
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는 국제 무인항공기 시장에서 운용이 간편하고 체공시간 및 통신거리의 제약에서 자유로운 VTOL 무인기를 개발하여 상용화, 시장창출에 크게 기여
(2) ATRC과제: 유무인기 복합제어 기술 연구
-
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독립적으로 운용되던 무인기를 유인기 자체에서 통합 및 제어함으로써 무인기와 유인기가 가지는 각각의 한계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임무효과를 극대화
-
본 기술의 장점은 ① 유인기의 제한된 항속거리를 무인기와 복합하여 운영함으로써 항속 및 탐지거리를 증대, ② 유인기를 통한 탐지·구조 임무 시 무인기와 병행작업을 함으로써 임무 효율성 제고, ③ 화생방·방사능 오염지역이나 화산, 전염병 창궐지역 등과 같이 유인기가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무인기의 선행조사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, ④ 유·무인기의 복합 운용을 통한 운용비용 절감 등 경제적 장점
(3) 무인기 데이터 추출 및 제어기술 개발
-
유·무인기 복합시뮬레이터 기술은 그 기술의 활용도가 무궁무진하여 어느 한 무인기에 국한된 기술이기보다는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무인기와 호환이 되어야 함
-
현재 시중에 출시된 여러 종류의 무인기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프랑스 Parrot社의 Bebop의 전방영상을 추출하고 무인기 제어 인터페이스와 연동
(4) 복수무인기(2대) 운용 인터페이스 개발
-
유인기 내에서 무인기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선 각 무인기 형체(고정익, 회전익)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필수적
-
인터페이스는 무인기를 활용하여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이륙, 임무수행, 착륙, 비상상황 대처 등 모든 상황에서 운용자와 무인기를 연결하는 핵심역할
-
2015년 9월 아주대학교에서 개최된 드론 페스티발에 전시된 복수 무인기 운용 인터페이스
(5) 복수무인기 운용자 임무부하 감소를 위한 적응형 인터페이스 개발
-
무장기능을 갖춘 회전익 무인기(UAV 1)와 정찰기능을 갖춘 고정익 무인기(UAV 2)로 구성하여 정찰 및 타격임무 수행
(6) 창의자산실용화과제: 복수무인기GCS 개발
-
4기의 무인기를 운용할 수 있는 복수무인기 운용 스테이션을 구축하여 보다 효율적인 임무수행이 가능할 수 있는 기술연구를 진행
-
무인기의 임무범위 제약, 신속한 상황인식 및 대응능력 등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수의 무인기를 연동하여 운용하는 복수 무인기 제어 시뮬레이터 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독립적으로 운용되던 무인기를 통합 제어하여 그 임무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연구를 진행
(7) 국방과학연구소: 무장헬기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임무효과 분석 연구
Cockpit 구성 및 임무 그립
-
조종석은 2개의 MFD, 2개의 TADS, 2개의 Cyclic, Collective, Rudder Control 로 구성
-
정조종사와 부조종사는 각자의 MFD를 가지며 독립적으로 작동
-
임무 그립 핸들은 조종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무기 발사 가능
주요 프로젝트
-
프로젝트명 : 근력증강 로봇 군 운용개념 및 효과도 분석
-
기간 : 2017. 05 ~ 2018. 12
-
주관 : 국방과학연구소(ADD)
-
연구내용 : 미래무기체계 워리어 플랫폼 기반 근력증강 로봇 연구
-
프로젝트명 : 무인수상정 통합임무계획 적합성 분석 기법 연구
-
기간 : 2016. 04 ~ 2018. 09
-
주관 : 국방과학연구소(ADD)
-
연구내용 : 미래무기체계 자율운항 무인수상정(USV) 임무계획 연구
-
프로젝트명 : 광역감시를 위한 자율비행 VTOL 무인기 개발
-
기간 : 2016. 07 ~ 2017. 06
-
주관 : 중소기업청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지원사업
-
연구내용 : 복수무인기 조종사 과부하 상태감지 및 임무부하 감소를 위한 미래형 GCS(Ground Control Station) 기술
-
프로젝트명 : Development of the Multi-purpose, Reconfigurable Simulator for Light Aircraft
-
기간 : 2015. 09. ~ 2016. 08
-
주관 : 중소기업청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지원사업
-
연구내용 : 다목적 가변형 경항공기용 시뮬레이터 개발
-
프로젝트명 : 소형무장헬기 연계 민수헬기 핵심기술 개발사업 상세계획서 작성을 위한 기획
-
기간 : 2014. 8.1 ~ 2014. 10.31
-
주관 : 산업통산자원부/한국항공우주산업(KAI)
-
연구내용 : 소형 무장헬기 TRL(Technology Readiness Level) 분석
-
프로젝트명 : BK21-Plus, Innovative Digital Manufacturing System
-
기간 : 2013.09 ~ 2016.02
-
주관 : 한국연구재단 BK21 플러스 사업
-
연구내용 : 혁신적 디지털 제조 시스템 연구
-
프로젝트명 : Informatics for Enhanced Quality Management System
-
기간 : 2013. 06 ~ 2016. 05
-
주관 : 한국연구재단
-
연구내용 : 인포매틱스 기반 차세대 품질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
-
프로젝트명 : A study on the mission effectiveness analysis of armed helicopter
-
기간 : 2011. 10 ~ 2012. 09
-
주관 : 국방과학연구소(ADD)
-
연구내용 : 무장헬기 임무효과 분석 기법 연구
-
프로젝트명 : A study o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vision-based remote calibration methodology to improve control accuracy of networked high precision robot
-
기간 : 2010. 05. ~ 2013 .04
-
주관 : 한국연구재단
-
연구내용 : 고정밀 네트워크 로봇시스템의 시각센서기반 원격보정 제어정확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 구현 연구